반응형
구글 코드에서 namebench라는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DNS란 본래 Domain name system이나 Domain name service의 약자인데요. 이 DNS의 설정에 따라, 인터넷 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구글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라 좀 더 신뢰가 가네요. 구글은 직접 공용 DNS(Google Public DNS)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사용법은 매우 직관적입니다. 다운 받은 파일을 자동 압축 해제(extract) 파일인데 실행하고 나면 압축이 해제된 이후에 파이썬 프로그램이 하나 실행됩니다. 기본 설정에서 대부분 바꿀 필요없이(웹 브라우저나 벤치마킹 방식 등을 바꿀 수 있습니다.) Start Benchmark를 누르면 벤치마킹을 마친 후 웹 페이지를 띄어서 결과를 알려줍니다.

몇 퍼센트 개선할 수 있는지, 어떤 DNS 서버로 바꾸면 좋은지 Primary와 Secondary로 추천을 해 줍니다. 이 프로그램 자체는 DNS 수정을 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설정을 바꾸어 주셔야 합니다. 윈도라면 '내 네트워크 환경 - 로컬 영역 연결 - 속성 -일반 탭에서 인터넷 프로토콜(TCP/IP) 선택 후 속성 - DNS 서버 주소 설정'에서 DNS 서버 주소를 자동에서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바꿀 수 있습니다.
 
전 34 % 개선이 가능하다고 해서 추천된 걸로 바꾸었더니, 인터넷 속도가 빨라진게 체감할 정도입니다. 정말 신기하네요. 몰랐던 DNS 서버들도 많이 있다는 것도 배우게 되고요. 인터넷 속도가 만족스럽지 못하시다면 한번 써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닐 포드가 지은 책으로, 부제는 '프로그래머 생산성의 비밀'입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다종언어(polyglot) 프로그래밍이었는데요. 자바를 대상으로 그루비(자바로 루비를 구현한), 자스켈(자바와 하스켈), JRuby(자바와 루비), Jython(자바와 파이썬) 등 자바가 가진 태생적 언어 한계를 다른 언어 프레임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인데요. 

물론 개발자의 편의와 유지보수를 위해 어느정도 성능이 희생될 수 있지만, 무어의 법칙에 의해 컴퓨터의 성능도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 같네요. 또한, 비즈니스 목적의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어차피 유지보수하면서 누군가에게 인수인계해야 합니다. 문서화가 잘 되어있지도 않은데 코드도 가독성이 낮다면 최적화에 대한 비용을 나중에 더 크게 치르는 셈이 되죠. 아예 성능과 최적화가 꼭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를테면 수치해석처럼 대량의 계산이 일시에 필요하다든지)이라면 처음부터 멀티코어, 다중스레드, 병렬화 등을 적용하고 MPI나 얼랑처럼 그에 맞는 도구를 쓰는 편이 더 낫겠지요. 결국 목적에 맞는 설계를 처음부터 하는 게 중요하겠네요.

앞의 에디터에 관한 팁같은 것도 즐겁게 읽었네요. 실용적인 프로그래머 이후로 약간 이 책은 기술적인 부분에 치우쳐 있긴 하지만, 좋은 참고가 될 것 같네요.
능률적인 프로그래머
카테고리 컴퓨터/IT
지은이 닐 포드 (지앤선, 2009년)
상세보기

반응형
반응형
Ubuntu를 기준으로 ip, gateway, subnet mask 등은 /etc/network/interfaces에 설정되어 있다.
service networking restart
를 사용하여 변경한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ifdown eth0
(또는 사용하고 있는 device에 따라 eth1처럼 달라질 수 있음, ifconfig으로 확인)
ifup eth0
도 사용 가능하다.

ping google.com
하면 unknown host 같은 메시지가 나올 수 있는데, 이는 네임서버 설정이 잘못되었기 때문이다.

vi /etc/resolv.conf
를 통해 nameserver 설정이 잘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nameserver= (DNS IP 주소)
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 없으면 DNS IP 주소를 추가해 준다.
DNS의 목록은 다음 링크를 참조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영문)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debian-26/ping-unknown-host-www-google-com-398599/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