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abs
처럼 쓴다. 숫자도 객체로 취급되기 때문에, 메서드 chain이 가능하다.
Math에 따로 없고 Complex는 복소수의 절대값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Complex plane에서 '실수부 제곱 + 허수부 제곱' 전체의 제곱근) 그 의미가 다르다.

참고할 링크.
반응형
반응형
2006년에 나온 Not even wrong의 번역서이다. 이 책의 제목은 책을 읽다가 보면 중간에 설명이 나온다. 뭐가 틀린 말일 때는 wrong이라고 하지만, 아주 엉터리라서 '틀렸다'라고조차 하지않는(not even wrong) 의미이다. 양자장론과 초끈이론을 둘러싼 물리학자들의 이야기가 매우 흥미롭다. 제일 재미있게 읽었던 부분은 미국, 구소련(러시아), 유럽의 가속기 개발 경쟁이었다. 가속기 개발 경쟁을 둘러 싸고 우라늄 농축 때문에 국방부에서나 과학재단에서의 투자를 많이 받았다가, 이제는 미국에서 세수의 적자 때문에 제일 먼저 입자 물리학 가속기의 지원 예산을 감축하자, 가속기 건설이 중단되었다는 이야기는 정말 안타까웠다.

초끈이론은 여전히 사반세기가 넘도록 이론이었을 뿐이고, 실험으로 이어지지도 못했다. 수학이라면 어떤 공리를 기초로 단계적으로 이론을 쌓아 올려 더 높은 수준의 추상화된 이론으로 일반화시키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물리는 수학이 아니다. 그 때문에 실험으로 이 이론이 물질 현상이나 자연 현상을 얼마나 잘 기술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과정이 필연적이다. 초끈이론이라는 막연한 환상에 사로잡혀 있던 내게, 초끈이론의 잘 드러나지 않았던 양면성을 알려준 유익한 책이었다.

초끈이론의 진실
카테고리 과학
지은이 피터 보이트 (승산, 2008년)
상세보기


반응형
반응형
시간의 방향성(흐름)이라는 네이버캐스트 오늘의과학을 읽었습니다. 중간에 보니 Partiy transformation을 뉴턴 방정식에 적용해서 설명해 주시고 계시더라고요. 미분방정식 부분을 공부할 때 나온 Parity 보존 연산자(preserving operator)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터라 더욱 신기했습니다. 

열역학적으로 엔트로피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시간이 흐른다는 말에 동의할 수밖에 없네요. 세상은 경우의 수(각 미시상태(microstate)를 포함하는 거시상태(macrostate)의 수)가 더 많은 방향으로 흘러가려는 경향이 있으니깐요. 다양하게 시간이 흐르는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어서, 유익하게 읽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