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aum의 우분투 미러 서버 주소 (Daum이 지원을 안 한다면 KAIST나 다른 국내 미러 사이트를 이용한다.)


소스 파일 주소 설정파일은 
/etc/apt/sources.list

cp sources.list sources.list.backup 으로 백업을 만들어두고,

vi에서 찾아 바꾸기 (찾아 바꿀 문자열은 설치 설정에 따라 us가 아니라 kr일 수도 있고,
설정파일마다 다르다.) vi에서 ESC 누르고 : 누른 상태에서

%s/us.archive.ubuntu.com/ftp.daum.net/g 

%s/security.ubuntu.com/ftp.daum.net/g

(g는 global의 의미)
daum 미러링 서버에서는 security도 같은 위치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두번째 명령으로 치환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을 바꿔 준다.

문자열 치환과 관련한 더 자세한 사항은
를 참조한다.
반응형
반응형
이 책에서는 7가지 C로 시작하는 프레임워크를 소개한다. 그 7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Client
  2. Clarify
  3. Create
  4. Change
  5. Confirm
  6. Continue
  7. Close
2장에서는 이 프레임워크를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3장에서 9장까지는 위의 각 요소를 소개한다. 10장에서는 컨설턴트의 자산이라는 주제로 마무리를 짓는다. 인상깊게 본 부분은 4장에서 외압이 어떤 방식으로 개인과 집단에 스트레스를 일으키는지에 대해 설명한 부분이었다.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는 것도, 너무 느끼는 것도 컨설턴트의 활동 범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스트레스 병목 지점에 신경 써야 한다는 부분에서 공감이 되었다. 컨설팅 주기의 서로 다른 측면에 대해 알고 싶다면 좋은 참고서가 될 것 같다. 
성공하는컨설팅의7요소
카테고리 경제/경영 > 경영전략 > 컨설팅
지은이 믹 코프 (이파로스, 2007년)
상세보기
반응형
반응형

실수체(real field)   
존재 정리를 확인한다.

1. 정리: 순서체(ordered field) R에서 최소상계성(least-upper-bound property)이 있다. 더욱이 R은 Q(유리수체)를 부분집합으로 포함한다.
두번째 문장은 Q \subset R과 R에서의 덧셈, 곱셈 연산이 Q의 원소에 적용될 때, 유리수에서의 일반 연산과 일치하고, 양의 유리수는 R에서 양의 원소라는 것을 의미한다.R의 원소는 실수라고 부른다.

정리의 증명은 길고 약간 지겹기 때문에 나중에 설명한다. 사실, 증명은 Q에서 R을 구성한다. 다음 정리는 아주 약간의 노력만 더 해서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정리 1. 에서 유도하는 편이 더 낫다. 왜냐하면 이 유도가 최소상계성으로 할 수 있는 좋은 예시가 되기 때문이다.

2. 정리
(가)x \in R,y \in R,x > 0일 때 nx > y를 만족하는 양의 정수가 있다.
(나)x \in R,y \in R, x< p < y를 만족하는 p \in Q가 존재한다.
(가)는 R의 아르키메데스 성질(archimedean property)을 나타낸다. (나)는 Q가 R에서 조밀(dense)하다고 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즉 어떤 두 실수 사이에 유리수 원소가 있다.
증명
(가) A가 모든 nx의 집합이라고 하자. n은 양의 정수이다. (가)가 거짓이라면, y는 A의 상계가 딜 것이다. 그러나 A가 R에서 최소상계를 갖는다. \alpha = sup A라고 둔다. x > 0, \alpha - x < \alpha이기 때문에 \alpha - x는 A의 상계가 아니다. 어떤 정수 m에 대해 \alpha - x < mx이다. 그러나 \alpha < (m+1)x \in A이고 \alpha가 A의 상계이므로 불가능하다.
(나) x < y이기 때문에 y - x > 0이고 (가)에서 n(y - x) > 1처럼 양의 정수 n을 내놓는다. m_{1}>nx, m_{2}>-nx를 만족하는 양의 정수 m_{1}, m_{2}를 얻고자 (가)를 다시 적용한다. 그러면 -m_{2} < nx < m_{1}이다. 따라서 -m_{2} < m < m_{1}에서 m-1 < nx < m을 만족하는 정수 m이 있다. 두 부등식을 합치면, 우리는 다음 식을 얻는다. nx < m \le 1+nx < ny. n > 0이기 때문에, 다음 식이 성립한다.
x< \frac{m}{n} < y
이것은 (나)를 p = m/n으로 증명한다.

양의 실수에서 n번 째 근을 증명할 것이다. 이 증명은 R에서 다룰 수 있는 \sqrt{2}의 무리수성(irrationality)의 어려움을 어떻게 지적하는지 보여줄 것이다. 유리수와 무리수를 포함하는 실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조한다.

http://en.wikipedia.org/wiki/Real_numbe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