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06년에 나온 Not even wrong의 번역서이다. 이 책의 제목은 책을 읽다가 보면 중간에 설명이 나온다. 뭐가 틀린 말일 때는 wrong이라고 하지만, 아주 엉터리라서 '틀렸다'라고조차 하지않는(not even wrong) 의미이다. 양자장론과 초끈이론을 둘러싼 물리학자들의 이야기가 매우 흥미롭다. 제일 재미있게 읽었던 부분은 미국, 구소련(러시아), 유럽의 가속기 개발 경쟁이었다. 가속기 개발 경쟁을 둘러 싸고 우라늄 농축 때문에 국방부에서나 과학재단에서의 투자를 많이 받았다가, 이제는 미국에서 세수의 적자 때문에 제일 먼저 입자 물리학 가속기의 지원 예산을 감축하자, 가속기 건설이 중단되었다는 이야기는 정말 안타까웠다.

초끈이론은 여전히 사반세기가 넘도록 이론이었을 뿐이고, 실험으로 이어지지도 못했다. 수학이라면 어떤 공리를 기초로 단계적으로 이론을 쌓아 올려 더 높은 수준의 추상화된 이론으로 일반화시키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물리는 수학이 아니다. 그 때문에 실험으로 이 이론이 물질 현상이나 자연 현상을 얼마나 잘 기술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과정이 필연적이다. 초끈이론이라는 막연한 환상에 사로잡혀 있던 내게, 초끈이론의 잘 드러나지 않았던 양면성을 알려준 유익한 책이었다.

초끈이론의 진실
카테고리 과학
지은이 피터 보이트 (승산, 2008년)
상세보기


반응형
반응형
시간의 방향성(흐름)이라는 네이버캐스트 오늘의과학을 읽었습니다. 중간에 보니 Partiy transformation을 뉴턴 방정식에 적용해서 설명해 주시고 계시더라고요. 미분방정식 부분을 공부할 때 나온 Parity 보존 연산자(preserving operator)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터라 더욱 신기했습니다. 

열역학적으로 엔트로피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시간이 흐른다는 말에 동의할 수밖에 없네요. 세상은 경우의 수(각 미시상태(microstate)를 포함하는 거시상태(macrostate)의 수)가 더 많은 방향으로 흘러가려는 경향이 있으니깐요. 다양하게 시간이 흐르는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어서, 유익하게 읽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어제 이를 닦으려고 치약을 열려고 했는데, 손에 물이 묻어 있어서 치약 두껑과 손이 자꾸 미끄러지더라고요. 이게 어느정도 손과 뚜껑사이의 마찰력이 작용해야, 뚜껑이 쉽게 열리는 데 제가 사용하고 있는 뚜껑의 표면이 매끈했습니다. 그래서 미끄러운 손으로 뚜껑을 열어 치약을 쓰기란 어려웠어요. 게다가 치약 뚜껑은 사용하고 잠그면 그 치약의 남은 부분이 뚜껑이랑 자꾸 굳어 붙어버려서 결합이 세지고요. 그래서 여러 번 미끄러지니까 좀 불편하더라고요.
 
생각해 보면, 여태까지 사용해왔던 다른 치약의 뚜껑들은 이런 미끄러움을 방지하고자 뚜껑의 옆 표면을 울퉁불퉁하게 만들어 두었던 것 같아요. 그렇게 되면 마찰하는 정도가 단지 표면의 마찰 계수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닌 손이 닿는 접촉면와 뚜껑의 구조적 요철면에서 더 마찰이 일어나서, 손이 미끄럽더라도 쉽게 뚜껑을 열 수 있게 되죠.

사람들이 원하는 어떤 목표가 있는데, 그것을 바로 이루어 주지 못하고 여러 번 실패를 걸치는 인터페이스랑 생각이 이어지게 되었어요. 컴퓨터 상에서도 메뉴의 편집-찾기를 누루는 것보다 Ctrl-F라는 단축키를 사용하는 게 더 간편한 것처럼 더 간단한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편이 사용자들에게 좀 더 유익하다고 봅니다. 그냥 잡생각에 그칠 수도 있지만, 앞으로도 불편을 겪으면 혹시 인터페이스가 문제는 아닐까 다시 생각해 보려고요. 어쩌면, 그런 곳에서 생각하지 못했던 통찰도 얻을 수 있을까 기대도 되고요.
반응형
반응형

- XUL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도구와 기술의 부분입니다. 스크류드라이버에 비유하면, 이것은 손잡이입니다. 자전자에 비유하면, 이것은 좌석, 손잡이, 페달, 기어 레버입니다. 웹사이트에는, 이것은 정교하게 만들어진 사이트의 컨텐츠와 사용자가 컨텐츠를 얻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웹 페이지를 돌아 다닐 때 필요한 도구를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입니다.

XUL이란 무엇일까요? 유명한 아르헨티나 시인이나 심지어 잘 알려진 유령 영화의 캐릭터라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XUL은 확장성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주제입니다. 이것은 웹 개발자와 프로그래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위해 사용해야 하는 언어로서의 힘을 얻고 있습니다. 이것은 XUL이 배우기 쉽기 때문입니다.

발음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XUL은 "zool(줄)"로 발음합니다. cool(쿨)과 비슷하죠. 1980년대에 살았던 사람들이라면 한 무리의 사람들이 고스트 버스터즈처럼 "양성자 꾸러미" 배낭을 입은채 유령을 잡으러 뉴욕 주변을 활보하고, 마루에 꼼짝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파괴하며, 축가가 나오는 영화를 기억할 수도 있겠네요. XUL의 테마와 발음의 대부분은 앞에서 채택했습니다. 유령 파괴자(Ghost buster) 영화로부터 장난 식으로 시작했습니다. 이는 즐거운 것이 항상 좋은 것이라는 점에서 우리에게 괜찮습니다. 유머를 유지하는 것은 우리에게 이 브라우저끼리 다투는 세계에서 우리가 뒷걸음질 치지 않도록 하고, 우리의 노력이 얼마나 필요한지 일깨워 줍니다.

말하자면, XUL은 가볍습니다. XUL은 여러 플랫폼과 장치를 지원합니다. XUL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화면 표현에 관한 명세입니다. XUL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는 다운로드 할 소형장치의 거대한 라이브러리가 더이상 없다는 점에서 가벼울 수 있숩나다. XUL 인터페이스는 이것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포괄적인 명세로부터 유래하였기 때문에 플랫폼 간에 호환됩니다.

Reference.

https://developer.mozilla.org/En/XUL 
https://developer.mozilla.org/en/The_Joy_of_XUL
https://developer.mozilla.org/en/XUL_Tutorial
https://goeverysite.appspot.com/developer.mozilla.org/ko/XUL
http://www-archive.mozilla.org/projects/xul/xul.html
(https://developer.mozilla.org/Project:Copyrights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v2.5 or any later version.)

http://en.wikipedia.org/wiki/XUL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for Wikipedia)


반응형
반응형
블로그의 글을 미투데이로 보내는 플러그인이 없어서 찾아보던 중에 twi2me라는 사이트를 통해 트위터의 글을 미투데이로 발행하는 기발한 방법이 있었네요.(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조 링크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그 원리는 티스토리 자체에서 "트위터 보내기 플러그인"이 제공되기 때문에 twi2me로 두 번 발행해서 티스토리의 글을 간접적으로 발행하는 것입니다. 다음과 미투데이의 인수회사인 서치솔루션이 네이버로 인수되면서 경쟁사인 포털사이트라 그런지 제공이 안 되는 게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드네요. (트위터 보내기 플러그인을 본다면 다음이 분명 능력이 없어서 지원을 못 하는게 아니라 능력이 있어도 안하는 것 같으니깐요. )

서비스가 다른데 하나의 서비스로 전체를 제어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욕구 때문에, 그래서 프렌드피드(friendfeed)같은 웹 서비스가 나오고 호응을 얻는 것 같네요.

 전 정보가 중복되는 걸 검색 로봇에서 헷갈려 하기도 할 것 같고, 그런 걸 싫어해서 아직 적용하지는 않았어요. 구태여 RSS라는 간편한 방법이 있으니까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될 듯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Korea Office Core Team Blog라고 한국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프로그램을 주제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지 여태 몰랐다. 잘 홍보가 안된 건지, 아니면 내가 관심이 없었던 건지 잘 모르겠지만 유익한 정보들이 많이 있어서 읽는 재미가 쏠쏠했다. 오피스 프로그램을 사용할 일이 있고, 관련된 팁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RSS로 구독해 볼만 하다. 

그중에 가장 유익했던 글은 번잡한 오피스 문서 History를 안 보이게 하는 법에 관한 포스팅이었다. 스크린샷이 영문인 것으로 보아 번역한 것인지 의문도 들지만 그래도 대체로 따라하기 쉽게 설명해 주었다. 또한, 고급 사용자를 위해 기술 자료와 관련된 심화 정보는 링크로도 제공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한국 MS 기술지원부에서 블로그를 통해 소비자와 소통하려고 하는 모습과 태도가, 소비자들에게 좀 더 잘 알려졌으면 좋겠다.
반응형
반응형
웹 페이지 로딩 속도도 한결 빠르고, 메모리 점유도 about:memory를 통해 확인해 보니 다른 웹 브라우저보다는 메모리 할당이 적은 것 같다.

구글 사전 바로 찾는 단축키 설정을 하니까 모르는 단어 뜻 찾아보기가 한결 수월하다. Adblock애드블락 같은 편리한 파이어폭스 플러그인을 사용하지는 못하지만, 그냥 장단점 있는 대로 그때그때 맞추어서 사용하면 될 것 같다. 구글 크롬에서는 파이어폭스에서 티스토리 글쓰기 창에서 일어나는 글자 입력하면 커서가 자꾸 뒤로 후퇴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서 좋다. 영아 맞춤법 검사 기능(틀린 단어 빨간 밑줄 쳐지는 기능)은 기본 설정이 되어 있길래 거추장스러워서 꺼버렸다. 비밀번호 저장도 자꾸 물어봐서 옵션에서 꺼주고, 번역할까 말까 물어보는 것도 영어에 한해서 설정을 꺼버렸다. 이렇게 취향에 맞게 고쳐놓으니까 크롬에 정이 간다.

Google 크롬은 Windows, Mac, Linux 등의 플랫폼으로 개발되었다. 온라인상으로 배포되고 있어서, 내려받아 설치 후 사용할 수 있으며 MS 익스플로러에서 사용하던 즐겨찾기 등의 데이터를 북마크로 이전할 수도 있다.
반응형
반응형
승산에서 나온 수학 교양도서로 줄리언 해빌이 지었다. 아무래도 이런 수학 관련 교양 도서의 예상 독자로는 일반인이나 학생들이 되겠지만, 공통적으로 어느 정도 수학에 관심과 호기심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크게 차이는 없을 것이다. 그런 대부분읙 경우에는 정규 교과과정에서 수학을 배우거나, 혹은 개인적으로 책을 찾아가면서 수학 공부를 해 본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네이피어 상수 e나 허수 i, 원주율 pi를 다룬 책은 많이 봤어도 오일러 상수 gamma를 다룬 국내 책은 처음이고 해서 낯설지만 흥미롭게 읽었다. 내용 자체도 너무 무거운 주제가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주 인기 있는 주제가 아니라서 딱 적절한 목표로 쓰인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수학 용어나 수학자들의 이름이 다른 책들의 표기와 달라 낯설고 다른 자료를 참조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61족의 improper integral을 변칙적분이라고 번역했다. 대한수학회 수학용어국가지정 수리과학연구정보센터 수학학술용어집에서 검색해보면 이상적분, 넓은 의미의 적분이라고 했지 변칙적분이라는 말은 용례에 없다. 또한 63 쪽의 Chebyshev를 체비셰프라고 했는데 외래어 한글상호변환기에서 정부 언론 외래어공동심의위원회의 한글표기 심의결정을 검색해보면 체비쇼프라고 한다. 67쪽에는 erdos를 에어디시라고 했는데 국립국어원 외래어표기법 제2장 표기일람표의 표10 헝가리어 자모와 한글대조표에 의하면 에르되시라고 표기하는 것이 맞다. 99쪽에는 앙드리앵-마리 르장드르라고 하고 영문에는 Adrien Marie Legendre으로 시작하든데 이 영문 표기가 맞다면 앙드리앵(Andrien)을 아드리앵으로 바꾸어야 할 것 같다. 외래어 한글상호변환기에는 또 Andrien으로 나와 있는데 Andrien의 구글 검색결과를 보면 Adrien의 오기인 것 같다.

105쪽의 recurrence relation의 점화관계는 수학학술용어집에 의하면 맞지만, 관계라는 것이 단순한 상관관계를 가리키는 것인지 수식적인 관계를 이야기하는 것인지 모호하기 때문에 점화식으로 썼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그리고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정의를 따르면 점화식 안에 이미 관계식이 정의로 포함되기 때문에 괜찮을 것이다. 211쪽의 determinant는 행렬정수라고 되어 있는데 수학학술용어집에 의하면 행렬식이라고 나와 있고 determinant가 역행렬을 판별할 수 있는 어떤 수에 대응시키는 행렬 원소로 구성된 식에서 계산으로 얻는 결과이기 때문에, 행렬식이나 판별식(물론 판별식에는 근의 유무나, 선형 안정성 분석 등 여러 의미가 있으나 여기서는 행렬의 판별식)으로 쓰는 편이 더 좋았을 것 같다.

표기 문제는 따지고 들어가면 한도 끝도 없기 때문에, 출간을 지연하는 것보다는, 편집자와 번역자 간에 적당한 선에서 타협을 보아야 한다. 표기법 상으로는 맞지만 어떤 다른 표기가 널리 쓰인다면, 널리 쓰이는 표기를 사용하고 외래어 표기법에 맞는 표기에 대해 설명을 해 줄 수도 있다. 아니면 책의 시작 부분에 이 책은 어떤 용어집이나 어떤 표기법을 기준으로 외래어와 전문 용어를 표시했는지 밝히고, 표기법에 맞지는 않지만 널리 쓰여서 상호 참조를 쉽게 하기 위해 단어를 사용했다고 밝혀 두었다면 더 낫지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이전과 겹치지 않는 주제이면서, 양질의 수학 교양 도서를 찾기 힘들어졌다. 미래의 양자 기술 시대를 준비하고자 수학과 물리 관련 교양 도서를 꾸준히 소신 있게 출간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이 주제가 일반 대중의 관심사와 멀기 때문이 아니라, 좋은 책을 잘 만들어도 알아주는 사람이 많지 않다는 점이 또한 그렇다. 앞으로도 읽어 볼만한 수학 교양 도서를 많이 내 주셨으면 좋겠다.


오일러상수 감마
카테고리 과학
지은이 줄리언 해빌 (승산, 2008년)
상세보기


반응형
반응형
티에디션이라는 기능이 생겼습니다. 제 블로그는 수학, 물리, 전산 등을 주제로 운영되는 블로그인데
요즘 들어 리눅스를 만져볼 일이 많이 생겨서, 리눅스를 주로 포함한 티에디션을 발행해 보았어요.

리눅스의 압축 해제나 사용자 계정 관리, 비프음에 관련된 명령어와 리눅스 네임 서버 등을 리눅스 관련 주제로 다루고 있어요.
리눅스 커맨드 라인 명령어가 많으니, 실습하려면 콘솔 환경이나 ssh 등으로 접속할 수 있는 터미널 서버가 필요하겠네요.
그 외에 수학 교양 도서 "허수"의 리뷰, 열린 주소창 DNS 후킹 서비스에 대한 단상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구글 코드에서 namebench라는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DNS란 본래 Domain name system이나 Domain name service의 약자인데요. 이 DNS의 설정에 따라, 인터넷 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구글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라 좀 더 신뢰가 가네요. 구글은 직접 공용 DNS(Google Public DNS)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사용법은 매우 직관적입니다. 다운 받은 파일을 자동 압축 해제(extract) 파일인데 실행하고 나면 압축이 해제된 이후에 파이썬 프로그램이 하나 실행됩니다. 기본 설정에서 대부분 바꿀 필요없이(웹 브라우저나 벤치마킹 방식 등을 바꿀 수 있습니다.) Start Benchmark를 누르면 벤치마킹을 마친 후 웹 페이지를 띄어서 결과를 알려줍니다.

몇 퍼센트 개선할 수 있는지, 어떤 DNS 서버로 바꾸면 좋은지 Primary와 Secondary로 추천을 해 줍니다. 이 프로그램 자체는 DNS 수정을 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설정을 바꾸어 주셔야 합니다. 윈도라면 '내 네트워크 환경 - 로컬 영역 연결 - 속성 -일반 탭에서 인터넷 프로토콜(TCP/IP) 선택 후 속성 - DNS 서버 주소 설정'에서 DNS 서버 주소를 자동에서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바꿀 수 있습니다.
 
전 34 % 개선이 가능하다고 해서 추천된 걸로 바꾸었더니, 인터넷 속도가 빨라진게 체감할 정도입니다. 정말 신기하네요. 몰랐던 DNS 서버들도 많이 있다는 것도 배우게 되고요. 인터넷 속도가 만족스럽지 못하시다면 한번 써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