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들의 음모
Science/Self-Improvement반응형
지식이 곧 돈이다라는 로버트 기요사키의 말에 깊이 공감한다. 좋은 학교와 해당 분야와 관련 있는 높은 학위가 꼭 좋은 직장에 취업하리라는 보장은 되지 못하지만, 그래도 이력서를 낼 때 남들보다 유리한 지위에서 시작한다는 점은 크게 과거와 변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금융 지식이 풍부할수록 수입을 다양한 방법으로 자산으로 바꾸어 남들보다 효율적인 현금흐름을 만들어 낼 것이다. 왜냐하면 부동산의 중개나, 절세하는 방법, 투자에는 어떤 분야가 있고, 위험이 적으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꾸준히 낼 수 있는 대상은 무엇인지 등을 더 일찍 파악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 책은 이전의 책과 달리 온라인 댓글로 소통하면서 작성했다고 하는데, 주제는 없이 뜬 구름 잡는 느낌도 없지 않다. 이곳 저곳 벌집 쑤시듯이 들추고 다녔지만, 정작 소득은 별로 없는 것 같다. 연준위가 정부기관이 아니라 대형은행들의 연합체이며, 종이에 숫자를 써 모노폴리 게임처럼 돈을 만들어내는 현실 상황은 경제 교양으로서 유익했다. 하지만 그런 시스템을 비판하는 쪽으로 치우쳐 설명하는 내용은 음모론적 주제로만 지나치게 빠지는 것 같아서 좀 뜬금없었다. 그런 부분에 포커싱하기보다 사람들이 그런 음모나 속임수에 휘둘리지 않을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 이를테면 실제 수입을 어떤 식으로 소비하고 투자하는 방식을 더 많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제시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피라미드와 삼각형 상자로 필요한 요소를 설명하는 방식은 너무 추상적인 접근 방식이라고 본다. EBSI 사분면 방식도 상식적인 부분에 괜히 도해를 도입시켜 이야기가 더 어려워진 것 같다.
|
반응형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