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가 서쪽으로 간 까닭은
Science/Computational반응형
제일 인상 깊게 읽었던 패턴은 '뉴스 세탁'인데요. 전달을 반복하면서 원래의 정보가 그대로 보존되지 않고, 노이즈가 껴서 원래 의도가 말단에 가서는 왜곡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학생들: 등록금 인상은 불가능합니다.-> 총학생회: 등록금 인상은 무리입니다-> 등록금책정위원장: 등록금 인상은 어렵습니다만..-> 총장: 등록금 인상 충분히 가능합니다.
같은 식이 되겠죠.
많은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가 과거에 있었고, 그런 실수에서 비롯된 교훈이나 빠지기 쉬운 함정이 있기 마련입니다. 프로젝트가 산으로 간다면, '이 책에서 그 패턴에 해당되는 문제'라는 걸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문제를 인식했다면, 이제 제시된 적합하고 가능한 해결책을 따라가면 되겠죠. 프로젝트 관리와 관련된 에세이라고 생각해서, 딱딱할 줄 알고 걱정했습니다. 저자가 재치있게 이야기를 풀어가고 지루하지도 않아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네요.
|
반응형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