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스토리
Science/Computational반응형
고객 또는 대리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사용자 스토리는 2부의 '추정과 계획'에서 점수를 매깁니다. 이 스토리 점수에 따라서 이터레이션마다 어떤 스토리를 개발할 것인지 계획하고, 각 이터레이션 주기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이터레이션 차트를 그리도록 합니다.
3부에서는 스토리로 오해하기 쉬운 것들과, 사용자 스토리를 써야 하는 이유, 그리고 스토리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들을 다룹니다. 또한 Agile 계열의 방법론 중 하나인 Scrum에서 사용자 스토리를 사용하는 예시를 보여줍니다. 4부에서는 항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해 온라인 도서 판매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예제를 통해, 사용자 스토리를 전체적으로 짚어봅니다. 5부에서는 익스트림 프로그래밍을 접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간략한 개요가 들어있고 각 장의 연습문제 해답이 들어 있습니다.
다른 서적에 소개된 요구사항 기법들에 짓눌려 있었다면, 사용자 스토리를 통해 재빠르고 가벼운 기법을 도입한다면 어떨까요?
반응형
댓글을 달아 주세요
daliot
켄트 벡이 한국에 옵니다. 관심이 있으실 것 같아 링크를 남깁니다.
http://www.sten.or.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1807
daliot
9월 4일 열리는 Kent Beck의 Responsive Design 세미나에 대한 호응이 너무 좋아서 정원이 이미 꽉차고 말았습니다. 9월 2일에도 같은 세미나를 하기 때문에 혹시라도 선착순에 밀리신 분이시라면 한번더 기회가 있다는 것을 알려 드립니다.
http://sten.or.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1822
세레
돈도 갈 수 있는 시간도 없네요. 다음에 꼭 기회가 되면 참석하겠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