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글 코드에서 namebench라는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DNS란 본래 Domain name system이나 Domain name service의 약자인데요. 이 DNS의 설정에 따라, 인터넷 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구글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라 좀 더 신뢰가 가네요. 구글은 직접 공용 DNS(Google Public DNS)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사용법은 매우 직관적입니다. 다운 받은 파일을 자동 압축 해제(extract) 파일인데 실행하고 나면 압축이 해제된 이후에 파이썬 프로그램이 하나 실행됩니다. 기본 설정에서 대부분 바꿀 필요없이(웹 브라우저나 벤치마킹 방식 등을 바꿀 수 있습니다.) Start Benchmark를 누르면 벤치마킹을 마친 후 웹 페이지를 띄어서 결과를 알려줍니다.

몇 퍼센트 개선할 수 있는지, 어떤 DNS 서버로 바꾸면 좋은지 Primary와 Secondary로 추천을 해 줍니다. 이 프로그램 자체는 DNS 수정을 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설정을 바꾸어 주셔야 합니다. 윈도라면 '내 네트워크 환경 - 로컬 영역 연결 - 속성 -일반 탭에서 인터넷 프로토콜(TCP/IP) 선택 후 속성 - DNS 서버 주소 설정'에서 DNS 서버 주소를 자동에서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바꿀 수 있습니다.
 
전 34 % 개선이 가능하다고 해서 추천된 걸로 바꾸었더니, 인터넷 속도가 빨라진게 체감할 정도입니다. 정말 신기하네요. 몰랐던 DNS 서버들도 많이 있다는 것도 배우게 되고요. 인터넷 속도가 만족스럽지 못하시다면 한번 써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Ubuntu를 기준으로 ip, gateway, subnet mask 등은 /etc/network/interfaces에 설정되어 있다.
service networking restart
를 사용하여 변경한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ifdown eth0
(또는 사용하고 있는 device에 따라 eth1처럼 달라질 수 있음, ifconfig으로 확인)
ifup eth0
도 사용 가능하다.

ping google.com
하면 unknown host 같은 메시지가 나올 수 있는데, 이는 네임서버 설정이 잘못되었기 때문이다.

vi /etc/resolv.conf
를 통해 nameserver 설정이 잘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nameserver= (DNS IP 주소)
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 없으면 DNS IP 주소를 추가해 준다.
DNS의 목록은 다음 링크를 참조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영문)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debian-26/ping-unknown-host-www-google-com-398599/
반응형
반응형
QOOK(구 메가패스)를 쓰고 있었었는데 URL 창에 입력하면 요새 열린주소창 검색이란 게 그 쿼리를 채가서 연결이 되더라고요. KT와 KTH(케이티하이텔, 파란의 운영사)인데 저같은 경우에는 너무 불편하더라고요. 검색 결과도 다음이란 야후 결과를 짜깁기해서 보여주고 스폰서링크, 파워링크같이 검색 상단에 위치한 광고도 눈에 거슬리고요. 넷피아, 디지털네임즈처럼 주소창 검색은 광고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KTH의 속셈을 열린주소창 서비스를 통해 어느정도 짐작할 수 있네요.

열린주소창을 삭제하거나 변경하려면 서비스 도움말 3번 링크에서 툴바 삭제와, QOOK 사용자는 툴바 없이도 열린주소창 서비스가 기본으로 강제기본 제공되기 때문에 DNS 변경을 해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KTH의 열린주소창 서비스는 정말 사용자를 향한 과잉친절인 것 같네요. 구글 크롬의 경우에는 열린주소창에 안 걸리고 무조건 제가 의도한 구글 검색 결과를 돌려주지만, 파이어폭스나 익스플로러의 경우는 입력한 쿼리를 채가서 열린주소창으로 강제 리다이렉팅 시켜버리니깐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보통 자기가 설정한 검색 공급자로 검색을 하고 싶어서 주소창에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도 있을 거라고 전 보거든요.

편리한 인터넷 접속을 돕기 위한 것이 아니라(저의 경우에는 방해만 되네요, 왜 한 회사의 잘못된 결정 때문에 사용자가 DNS 변경이라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하죠?), 광고 노출을 위한 목적이 더 강한 것 같아서 씁쓸하네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