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약 뚜껑과 유저 인터페이스
Science/Computational반응형
생각해 보면, 여태까지 사용해왔던 다른 치약의 뚜껑들은 이런 미끄러움을 방지하고자 뚜껑의 옆 표면을 울퉁불퉁하게 만들어 두었던 것 같아요. 그렇게 되면 마찰하는 정도가 단지 표면의 마찰 계수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닌 손이 닿는 접촉면와 뚜껑의 구조적 요철면에서 더 마찰이 일어나서, 손이 미끄럽더라도 쉽게 뚜껑을 열 수 있게 되죠.
사람들이 원하는 어떤 목표가 있는데, 그것을 바로 이루어 주지 못하고 여러 번 실패를 걸치는 인터페이스랑 생각이 이어지게 되었어요. 컴퓨터 상에서도 메뉴의 편집-찾기를 누루는 것보다 Ctrl-F라는 단축키를 사용하는 게 더 간편한 것처럼 더 간단한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편이 사용자들에게 좀 더 유익하다고 봅니다. 그냥 잡생각에 그칠 수도 있지만, 앞으로도 불편을 겪으면 혹시 인터페이스가 문제는 아닐까 다시 생각해 보려고요. 어쩌면, 그런 곳에서 생각하지 못했던 통찰도 얻을 수 있을까 기대도 되고요.
반응형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