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Routine반응형
이 책에는 슬라우 마을의 사람들이 사례로 소개가 된다. 행복 이론이 실제로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는지 실험하는데, 실제로 몇몇 부분에서는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좀 더 낙관적으로 보게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친구, 일, 건강 등 각 범주에서 행복의 기술은 어떤 게 있을지 이야기한다. 한국과 문화적 차이는 있지만, 그래도 사람 사는 사회라는 점이 비슷해서 그런지, 읽으면서 책이 제시하는 의견에 공감했다.
돈과 행복의 상관 관계를 다룬 부분이 매우 인상 깊었다. 돈이 아주 없으면 불행하지만, 그래도 반드시 돈이 행복과 비례하지는 않는다는 내용이었다. 예전에 SBS 그것이 알고싶다 방송에서 복권 당첨자들의 비참한 이후를 주제로 한 방송을 봤는데, 그와 비슷한 사례도 책에서 소개했다.
책에 나오는 행복지수 계산을 쿨머니 신년계획(머니투데이) 사이트에서 할 수 있었던 것 같은데, 구글 크롬과 IE 7로 시도해보니 처음 설문조사 항목을 입력하는 항목의 submit 부분에서 스크립트 오류가 나는 것 같다.
|
반응형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