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에 해당되는 글 17건
푸앵카레가 묻고 페렐만이 답하다
Science/Mathematics반응형
순수수학 단행본 교양도서를 서점에서 살펴보면 정말 그 주제가 한정되고, 수도 적어서 아쉬웠습니다, 페렐만이 푸앵카레의 추측을 해결한 덕분에, 정수론 말고 위상수학과 관련된 교양 도서를 읽을 수 있어 정말 기쁩니다. 페렐만의 성취는 한 번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틈틈이 습작으로 갈고 닦은 실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노력의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페렐만의 필드상 거부는 수학계의 자성을 촉구하는 무언의 표현이라고 합니다. 아직 미해결된 수학의 밀레니엄 문제들도 해결되는 날을 볼 수 있기를 희망해 봅니다.
|
반응형
아름다움의 과학
Science반응형
미모와 심리의 관계, 미모가 사회에서 가지는 의미와, 사람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결과는 놀랍도록 사실적이고 적나라했다. 특히 도움을 요청한 사람의 미모가 평균 이상일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부탁 수락률이 차이가 났다는 점, 미모가 형사 재판에서 죄인을 구형할 때 영향을 끼친 점 등은 일리있는 이야기였다. 대중들이 관심을 보일 만한 주제에 대해 자신의 전문 지식으로 그 개념을 재구성했다는 점에서 인상 깊게 읽었다.
|
반응형
다수를 바꾸는 소수의 심리학
Science/Self-Improvement반응형
옥의 티를 찾자면 4 쪽의 일러두기에서 '외국어 표기법'은 '외래어 표기법'(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것이지, 외국어 자체를 표기하는 것이 아니므로 그리고 문교부 고시 제 85-11호(1986)도 외래어 표기법이라고 규정함)으로 바꾸어야 할 것 같고요. 책 본문 중간에 강조하고 싶은 내용을 똑같은 글씨체에 진하게 해 두어서, 잘 구분이 안 되었습니다. 차라리 고딕체처럼 폰트로 강조를 했으면, 읽기 쉬울 거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무한 공간의 왕
Science/Mathematics반응형
다른 사람들의 고전 기하학에 실망하여 등을 돌렸을 때, 비유클리드 기하학과 초다면체 등을 연구하면서 꾸준히 계속 업적을 남길 수 있었던 재능과 근면함이 부러웠다. 콕세터는 여러 거울을 이어 붙여 만든 망원경으로 고차원의 다면체를 3차원 이하의 차원으로 사상하고자 했다. 나중에 그는 콕세터 도식이라는 매우 독창적이면서 간결한 초다면체 표기법을 만들었는데, 정보가 이렇게까지 압축될 수도 있구나 싶었다. 앞으로 다른 수학자들도 이렇게 소개되어서, 그들의 수학적 업적과 함께 인간적 면모도 함께 알아갈 수 있는 책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
반응형
불완전성 쿠르트 괴델의 증명과 역설
Science/Mathematics반응형
인간의 추상화에 대한 집념은 정말 대단한 것 같아서, 이런 업적들을 볼 때 단번에 쉽게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경외심을 느끼게 하는 면도 있다. 그는 원래 물리학을 공부하다가, 수론 때문에 수학을 공부하다가, 수리논리학을 연구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 그의 진로가 내가 지금 하고 있는 고민과 일치하는 것 같아서,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참고할 수 있을 것 같다. 비슷한 부류의 교양 도서들이 많이 나와서, 사람들이 수학이나 물리에 대해 좀 더 친근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엇으면 좋겠다.
책을 읽으면서 좀 불편했던 부분을 정리하면
- 본문에 포함된 주석의 양이 너무 많아서 읽기에 산만했다. 어떤 주석은 본문의 절반을 차지하기도 했는데, 주석이 그렇게 중요한 내용이었다면 지은이가 본문에 포함했을 것이다. (본문의 오류를 지적하는 옮긴이주는 본문에 포함되어서 차라리 나았다.) 주석을 읽으려면 본문을 읽다가 주석 읽고 다시 원래 자리로 찾아 돌아가서 읽어야 되는데 그렇게 하면 흐름이 끊기고, 막상 주석이 본문의 줄거리와 크게 관련 없는 사소한 내용일 경우에는 실망만 커진다. 차라리 그 주석들을 전부 각 장의 뒤나, 아니면 책의 맨 뒤 부록으로 뺐으면 좋겠다.
- 일부 어려운 개념이나, 인명 옆에 원문을 작은 글씨로 병기했다. 이 영문 부분도 새로운 정보를 주기 보다는 읽기에 걸리적 거리니깐 뒤에 찾아보기 부분에 같이 병기하는 편이 낫다고 본다. 그렇게 하면 관련 자료를 서로 참조할 때 굳이 본문에 일일이 원문을 표시해 주지 않아도 불편하지 않을 것이다.
|
반응형
아인슈타인의 우주
Science/Physics반응형
물리학에는 위대한 발자취를 남겼지만, 그런 그가 대학에 다닐 때에는 교수들과 사이가 안 좋아서 특허국에 친구의 도움으로 취직했다는 것은 다소 의외였다. 특히 실험과목에서 주어진 매뉴얼을 불태우고 나름의 방법대로 하다가 손을 다친 이야기에서, 그가 무모한 면도 있지만 용기 있다는 인상을 느꼈다. 하지만 특허국에서 작성한 그의 논문이 이렇게 유명하게 될 줄 그의 주변사람들은 잘 모르지 않았을까 싶다.
|
반응형
파인만의 과학이란 무엇인가
Science/Physics반응형
강연의 내용을 읽어 보니까, 역시 파인만 특유의 재치와 재담이 눈에 띈다. 재미 있는 일상 경험과 자신의 말하고자 하는 바를 엮어서 참 말을 잘하는 것 같다. 과학 뿐만 아니라 과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과학과 사회와의 관계 등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해 준 책이었다. 또한 다른 책과는 다르게, 사회 종교에 대한 주제에 대해서 파인만의 개인적 생각을 들을 수 있어서 흥미로웠다.
|
반응형
수학 홀릭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Science/Mathematics반응형
수학걸의 주인공과 함께 유리라는 이종사촌 동생이 새로 등장한다. 주인공은 풋풋한 여학생 세 명에 둘러 싸여 수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하는데, 소설로 수학적 내용을 설명하니깐, 교과서보다는 내용에 몰입하기가 쉽다. 다만, 대학 수준의 수학 내용이 나오기 때문에 그런 내용이 나오면 너무 매이지 말고, '그런게 있구나' 하는 정도로 넘어가면 된다.
유키 히로시(The Essence of Programming, 일본어)의 홈페이지에 의하면 이것 말고도, 수학걸: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2009. 5. 11)가 나왔는데 이 책도 빨리 번역서가 나와서 읽어보게 되면 좋겠다. 원서에는 일러스트가 있는데, 번역서는 교양서를 목적으로 되다 보니 원서 표지의 캐릭터 일러스트가 빠진 것 같아 아쉽다.
반응형
한국계산과학공학회 초청강연 안내
Science/Computational반응형
한국계산과학공학회에서 초청강연회와 멀티코어/GPU 컴퓨팅 워크숍을 엽니다.
과학계산이나 멀티코어와 GPU 컴퓨팅를 이용해서 컴퓨터의 계산 성능을 높이는 데 관심이 있으시다면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네요.
날짜는 2010/5/27~5/28, 장소는 고등과학원에서 열리고 등록은 무료라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