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멘탈 모델은 사용자 경험에서 많이 사용되는 단어인데요. 사람들이 생각하는 과정, 행동하는 목적, 행동의 감정적/이성적 배경 등을 이해하기 위한 ethnography*(Google 사전)자료의 affinity diagram(친화도)이다.

처음에 컴퓨터 관련 서적에서 책을 찾다가, 인간공학 쪽의 서가에서 찾을 수 있었다. 심리학, 디자인, 인지과학 등 복합적 성격을 지닌 멘탈 모델 방법론을 이용해 컨설팅도 하고, 멘탈 모델 덕분에 긍정적인 경험을 한 고객들도 많다는 이야기에서 호기심이 일었다. 가격이 부담이 되지만, 컬러 인쇄라는 점이 눈에 띈다. 책의 디자인에서, 특히 각 장의 구분지를 진녹색으로 인쇄했다. 정말 기발했다. 책을 펼치는 부분을 살짝 밀어서, 색깔로 각 장의 시작 부분으로 빨리 이동할 수 있어 편리했다. 다양한 예제와 풍부한 그림도 도움이 되었다. 

UX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UX 디자인 프로젝트 가이드처럼 다른 책에서 보았던 사용자 인터뷰나 페르소나에 관한 내용도 멘탈 모델을 기반으로 설명했다. 영화를 주제로 한 예제로 구성해낸 최종 멘탈모델 결과물이 기억에 남는다. 이런 수준의 자료라면 정말 다른 사람들이 납득하기도 쉽고, 개발 내내 프로젝트 성격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데 좋을 것 같았다. 

UXinsight 시리즈도 Agile 시리즈처럼 계속 나온다고 하니 기대가 된다. Programming insight 시리즈처럼 어떤 소스 코드의 버전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래서 UX나 Agile의 근간이 되는 철학이나 개념이 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오랜 기간 참고할 수 있어서 좋다. 

* ethnography? 민족지학이라는 뜻으로 인류학에서 다른 문화를 연구하고 설명하는 분과이나, 멘탈 모델 방법론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사용자의 행동 자료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에스노그라피에쓰노그라피로 흔히 국내에서 표기한다. 책에서는 에쓰노그래피로 표기했다.
하지만 이 표기는 국립국어원 외래어표기법에는 맞지 않다. 일단 외래어 표기법에서 파열음 표기에 된소리를 허용하지 않으므로 '쓰'가 들어간 표기는 전부 틀리다. 발음기호에 의하면 미국식으로 읽을 때는 에스나그러피, 영국식으로 읽을 때는 에스노그러피가 되어야 한다. 아무래도 대다수의 사람들이 사전의 발음을 확인하면서 읽기보다, 철자의 발음을 그대로 읽었기 때문에 발생한 오류로 보인다.
멘탈모델
카테고리 컴퓨터/IT > 컴퓨터공학 > 컴퓨터공학/컴퓨터과학개론
지은이 인디 영 (인사이트, 2009년)
상세보기


반응형
반응형

한국계산과학공학회에서 초청강연회와 멀티코어/GPU 컴퓨팅 워크숍을 엽니다. 
과학계산이나 멀티코어와 GPU 컴퓨팅를 이용해서 컴퓨터의 계산 성능을 높이는 데 관심이 있으시다면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네요.
날짜는 2010/5/27~5/28, 장소는 고등과학원에서 열리고 등록은 무료라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A Mathematician's Apology(1940)의 번역서로 수학자 G. H. 하디(Godfrey Harold Hardy)가 지었다. 하디는 수학과 과학을 구분하고, 수학을 순수수학과 응용수학으로 구분하여 이야기한다. 책의 분량은 짧지만 수필 형식으로 29가지 이야기를 나열한다. 수학을 홀로 터득한 천재 수론학자 라마누잔과의 극적인 만남을 하디는 책에서 회상한다. 독백 형식의 글 뒤에는 부록으로 '수학사를 빛낸 세계의 수학자들'이 나와있어, 유명한 수학자들의 이름과 성취를 시대별로 보여준다.
어느 수학자의 변명
카테고리 자연과학/공학
지은이 G. H. 하디 (세시, 2008년)
상세보기


반응형
반응형
Professional 소프트웨어 개발을 읽었습니다. 스티브 맥코넬 씨가 지은 책인데요, 번역서가 2003년에 초판이 발행되었네요. 책의 용어를 사용하자면 이 책은 SWEBOK(Software Engineering Body of Knowledge)에서 변하지 않는 범주에 속하는 책이라고 여겨집니다.

책을 읽고 나서 곰곰이 생각하게 된 것은, 컴퓨터과학과 소프트웨어공학 사이의 격차인데요. 일단 컴퓨터과학은 현업에서 그 가치가 크게 인정받지 못하더라고, 다른 과학자와 주로 관련을 맺는 점에 반해, 소프트웨어공학은 현업에서 실제로 소비자와 부딪치기 때문에 여러가지 제약 조건들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마지막 파트인 업계의 프로정신에서 다루어진, "혁신의 확산"에 대한 그래프가 있었는데요. 선각수용자와 전기 다수의 캐즘(chasm)을 다루고 있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혁신자보다는 적은 위험을 안는 선각수용자들은 XP나 스크럼 등 애자일 방법론을 적용하는 쪽이고, 전기 다수인 사람들은 역량 성숙도 모델(CMM) 종류를 적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책에서는 Code&Fixing(일단 코드를 작성하고, 나중에 고치는)을 가장 피해야 한다고 했는데, 이 부분에서 가책을 느꼈습니다.

책의 역자서문에서는 Rapid Development나 Code Complete를 스터디하기 전에, 다소 추상적인 에세이들이 모인 이 책을 먼저 읽을 것이 추천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공학 분야를 아우르면서, 동시에 "프로페셔널"하다는 것에 논한다는 점에서 신선한 자극을 주는 책이락 생각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